목록분류 전체보기 (29)
쉽고 편한 공간
2021년 4월 12일 논산 육군훈련소 입소 후 2달 뒤 6월 10일 자대를 배치받았다. 5주를 육군 훈련소에서, 3주를 육군종합군수학교에서 교육받았다. 징집으로 가서 K55계열 자주포 정비 특기를 부여받아 예정에 없던 후반기 교육을 받게되었다. 자대배치를 받기까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2달을 보냈다. 참 새롭고 다양한 경험들을 했고 느낀 바도 많았으나 아쉽게도 군 보안규정에 의해 구체적인 사항은 블로그에 기재할 수 없다. 때문에 단편적인 느낌이나 감상들을 간단하게만 기록해두려 한다. 코로나 사태 때문에 육군훈련소에 입소 후 바로 2주간 격리생활에 들어갔다. 3일만에 첫 세면과 양치가 가능했고, 샤워는 8일차부터 가능했다. 침상에 가만히 앉은 채 1분 1초를 헤아렸다. 정신적 고통과 육체적 피로가 ..
인생에서, 아니 전 세계를 둘러봐도 군 복무는 흔히 할 수 있는 경험이 아니다. 그럼에도 대한민국 남성의 대부분은 이를 경험한다. 그것도 강제 징집이다. 여러가지 생각이 드는데 마지막으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 내가 군 입대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한민국은 휴전, 분단국가이다. '주적(主敵)'이 휴전선을 맞닿고 바로 붙어있는 입장에서 국방에 소홀히 할 수 없는 노릇이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말 중에 '강한 국방력이 뒷받침 되어야 외교에서 말에 힘이 실린다'는 언급이 있다. 어쩔 수 없는 정설이다. 국방에 소홀하다면 되려 나라가 전쟁의 위기에 처할 수 있다. 대한민국은 60만 장병의 2년을 바쳐 매년 전쟁을 미루고 있는 것이다. 나는 전쟁을 하지 않는 값으로 인생의 2년이면 '거저'라고 생각한다. ..
2021년 4월 12일, 공교롭게도 내 생일에 군 입대다. 요즘 글 쓰는 빈도가 커진 이유도 떠나기전 뭔가를 남기고 싶은 심정 때문이다. 사실 집을 오래 떠나있는 경험은 고등학교 기숙사 생활에서 겪어봤다. 그때는 입사 후 3년간 어떤 생활을 하게 될 지도 몰랐고, 무엇을 배울지도 모른 채 등떠밀려 갔다. 그러나 군 복무는 18개월간 어떤 생활을 할지 어느정도 알 수 있고 예상이 가능하다. 따라서 입대 전 생각을 정리할 정도의 여유가 생기는 것 같다. 군복무 18개월의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도 중요하지만,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러 가는 것이지 공부를 하러 가는게 목적은 아니다. 군 복무 후 비로소 이것저것 마음껏 해볼 수 있는 상황이 되었을때 무엇을 할 것인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군 입대전 나의 ..
논어는 공자 사후 공자의 제자들이 공자의 언행을 모아 책으로 펴낸 것이다. 나는 논어로부터 배울 수 있는 공자의 삶의 자세를 너무 좋아한다. 항상 공자를 닮고자 하며 공자의 뜻을 헤아리고자 한다. 논어에는 좋은 문장들이 참 많지만 그중에서도 내게 크게 와 닿는, 인상 깊은 문장들을 발췌해보았다. 문장의 순서는 책에 언급된 순이다. 배우고 그것을 때에 맞게 익혀 나가면 기쁘지 않겠는가? 듣기 좋게만 말하고 얼굴 표정을 잘 꾸미는 사람에게는 인덕이 드물다. 남이 자기를 알아주지 않는 것을 근심할 것이 아니라, 내가 남을 알아보지 못할까 근심해야 한다. 먼저 실천하고 그 뒤에 말이 따라야 한다.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종잡을 수 없어 터득하지 못하고,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아는 것을 안..
2020년 7월에 입시컨설팅플랫폼 '소다란(www.sodaran.com)'의 웹사이트 개발을 시작했다. 12월에 런칭 후 2021년 3월 현재까지도 유지보수 중이며 군 입대전 인수인계는 마무리 한 상태다. 소다란은 성균관대학교 소속 경영학회 인액터스의 사업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소다란에 속해있던 친구의 소개로 웹사이트 개발 일을 여름방학 동안 맡아 진행하게 되었었다. 개발 경험이 많지 않던 나였기에 사이트를 개발하며 넘은 산이 엄청 많았다. 그 후기를 남겨보고자 한다. 후회된 일과 잘한 일을 나눠봤는데 사실 송구스럽게도 잘한 일은 거의 없다. 그럼에도 나중에 같은 잘못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하나하나 분명히 되짚어보고자 한다. 자잘한 개발 이슈 보다는 큰 틀에서의 방향성을 지적한다. 1. 웹사이트 제작을..
*이 글은 www.youtube.com/watch?v=RKDLx6ksnWs 본 영상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밝힙니다. 아마 현 지구상에서 '가장 대단한 사람'을 뽑으라 한다면 반드시 언급되는 사람이 일론 머스크일 것이다. 20대에 paypal을 설립해 억만장자가 되고 현재 space X, tesla의 CEO로서 누구보다 앞선 비전과 시야를 가진 일론 머스크는 과연 어떤 사고방식을 가졌을까. 이에 대한 인터뷰를 담은 영상을 우연히 보게 되었다. 인터뷰 영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약간의 나의 주관을 입히면) 당신은 어떤 방식으로 사고하기에 이런 대단한 일들을 할 수 있는겁니까? - "저는 어떤 문제를 대할 때 '물리적인 접근'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 "문제를 해결하는..
* 본 글은 '대학생-청소년 입시컨설팅 플랫폼 소다란'의 '입시톡'에 대학생 칼럼으로 기고되었던 글을 일부 수정한 글임을 밝힙니다. #1 비교과는 금수저를 위한 것? 문·이과 구분 없이 수시로 대입을 준비하는 학생들이라면 비교과 활동을 소홀히 할 수 없다. 특히 상위권 대학 진학을 노리는 학생들은 과하다 싶을 정도로 철저히 ‘비교과 스펙’을 쌓아나갈 것이다. 일부 학생들은 반문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교과 활동들은 오로지 대입을 위한 ‘스펙’에 불과한 것 아니냐고, 재력 있는 집안의 ‘금수저’들의 상위권 대학 입학을 위한 ‘꼼수’가 아니냐고. ‘절반’은 옳은 주장이다. 글쓴이는 영재학교를 졸업했는데, 영재학교는 단연코 대한민국에서 비교과 활동을 가장 많이 장려하고, 실제로 많이 하는 학교이다. 일반 학생들..
두 번째로 참여한 해커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한 '오픈소스 기반 창업모델 발굴 해커톤(OTHON)'이다. 규모가 커 보이진 않았으나 뉴스 빅데이터 해커톤과는 다르게 이틀간 오프라인에서 해커톤을 진행하며 멘토의 멘토링도 일정에 포함되어 있음에 주목했다. 뉴스 빅데이터 해커톤으로 팀의 개발 역량은 확인할 수 있었으나 아직 창업모델을 전문적으로 구체화하는 역량이 부족했다고 느꼈다. 때문에 멘토링 과정이 포함된 이 해커톤에 참여키로 결정했다. 문제는 해커톤 주제에 있었다. '오픈소스를 활용한 코로나시국과 관련된 창업모델 구상'이 과제였다. '오픈소스 활용'은 문제 될 것이 없었으나 '코로나'의 키워드가 매우 골치 아팠다. 이미 코로나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서비스(코로나 현황 알림 등)는 쏟아져 나오고 있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