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이준석 (3)
쉽고 편한 공간
대선 유세가 한창이다. '단일화는 없다'고 선언한 화제의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는 한 인터뷰에서 '시그니쳐 공약이 뭐냐'라는 질문에 주저없이 '교육'이라 답했다. 내 블로그 글을 보면 알 수 있듯, 난 분야와 수준을 막론하고 교육제도에 관심이 많으며, 국가의 한 세대의 운명이 그 시대의 교육이념에 좌우된다고 믿는 사람이다. 때문에 이번 이준석 후보의 이른바 '수학교육책임제'를 중심으로, 그의 교육 정책 철학에 대한 내 사견을 간단히 피력해보고자 한다. 배움을 나누는 사람들모르는 사람도 있겠지만, '박근혜 키즈'로 정계에 입문하기 전 이준석 후보는 저소득층 대상 수학 교육봉사 단체 '배움을 나누는 사람들(배나사)'의 대표였다. 서울과학고 - 하버드 출신의 엘리트, 심지어 보수계 인사가 이러한 배경을 가졌..
'21 7월 21일, 국민의 힘 정책 공모전이 마감되었다. 군 복무중인 관계로 이런 저런 활동에 제약이 아쉬워하던 찰나, 정책 공모전은 조금 욕심을 가지고 참가를 결심했었다. 평소 조각처럼 조금씩 떠올리던 생각들이 많았는데 이번 기회에 이것들을 잘 정리할 기회가 될 것 같았다. 주젯거리는 참 많았으나 이를 '정책'이라는 틀 안에 잘 집어넣기 위해선 넓은 시야와 깊은 안목이 필요했다. 때문에 정치, 외교, 경제 등의 분야에 있어서는 아직 '정책'으로 구체화 할 만큼 뚜렷한 견해가 내게 없었기에 역시 내가 가장 관심이 많은 '교육' 분야로 정책을 구상해보기로 했다. '교육'분야로 범위를 좁혔음에도 머릿속에 나도는 생각들이 질서없이 분주했다. 정책제안서에는 1500자의 글자수 제한이 있고, 심사위원 입장에선 ..
요즈음 이준석이 만들어내는 돌풍이 연일 화제가 되고있다. 이준석은 내가 관심을 가지고 행보를 지켜보는 거의 유일한 정치인이다. 서울과학고 출신에 하버드 컴퓨터공학과를 전공한 공학도라는 점, 30대에 불과한 젊은 청년 세대라는 점이 처음 내 이목을 끌었었다. 통상의 정치인들이 늘어놓는 어렵고 복잡한 문장들과는 달리 이준석이 하는 말 만큼은 간결하고 명확했다. 본인이 주장하는 바를 뒷받침 하는 논리들이 일관되어 공감하기도 쉬웠다. 무엇보다 '옳은 것은 옳고, 그른것은 그르다'고 할 줄 아는 몇 안되는 정치인이었다. 대학교 새내기 시절, 이준석이 만든 교육봉사단체 '배움을 나누는 사람들'에서 6개월간 봉사하기도 했다. 이런 이준석이, 제1 야당의 당대표가 되어 자신의 그림을 그려나가고 있다. 그 첫 획은 토론..